2024.05.30 (목)

  • 흐림속초17.9℃
  • 흐림20.6℃
  • 흐림철원20.2℃
  • 흐림동두천20.6℃
  • 흐림파주19.8℃
  • 흐림대관령16.0℃
  • 흐림춘천21.1℃
  • 구름많음백령도15.9℃
  • 흐림북강릉18.7℃
  • 흐림강릉20.8℃
  • 흐림동해18.4℃
  • 흐림서울22.9℃
  • 흐림인천21.1℃
  • 흐림원주22.3℃
  • 흐림울릉도18.4℃
  • 흐림수원21.9℃
  • 흐림영월20.5℃
  • 흐림충주21.2℃
  • 흐림서산21.4℃
  • 흐림울진18.6℃
  • 흐림청주24.2℃
  • 흐림대전22.9℃
  • 흐림추풍령21.2℃
  • 흐림안동22.7℃
  • 흐림상주21.8℃
  • 흐림포항20.8℃
  • 흐림군산21.5℃
  • 흐림대구24.4℃
  • 흐림전주23.7℃
  • 흐림울산20.0℃
  • 흐림창원21.4℃
  • 흐림광주22.6℃
  • 흐림부산20.0℃
  • 흐림통영19.7℃
  • 비목포20.0℃
  • 흐림여수20.6℃
  • 흐림흑산도17.5℃
  • 흐림완도21.2℃
  • 흐림고창21.0℃
  • 흐림순천20.3℃
  • 흐림홍성(예)22.9℃
  • 흐림22.0℃
  • 흐림제주21.2℃
  • 흐림고산19.9℃
  • 흐림성산21.1℃
  • 비서귀포21.1℃
  • 흐림진주22.0℃
  • 흐림강화19.3℃
  • 흐림양평21.5℃
  • 흐림이천21.5℃
  • 흐림인제19.2℃
  • 흐림홍천20.6℃
  • 흐림태백17.3℃
  • 흐림정선군20.0℃
  • 흐림제천20.1℃
  • 흐림보은21.0℃
  • 흐림천안20.9℃
  • 흐림보령20.3℃
  • 흐림부여22.9℃
  • 흐림금산22.1℃
  • 흐림21.8℃
  • 흐림부안21.0℃
  • 흐림임실21.3℃
  • 흐림정읍21.6℃
  • 흐림남원22.6℃
  • 흐림장수19.8℃
  • 흐림고창군20.5℃
  • 흐림영광군20.2℃
  • 흐림김해시20.6℃
  • 흐림순창군22.8℃
  • 흐림북창원23.1℃
  • 흐림양산시23.0℃
  • 흐림보성군21.8℃
  • 흐림강진군21.8℃
  • 흐림장흥21.2℃
  • 흐림해남21.2℃
  • 흐림고흥20.9℃
  • 흐림의령군23.5℃
  • 흐림함양군21.5℃
  • 흐림광양시21.9℃
  • 흐림진도군20.3℃
  • 흐림봉화19.4℃
  • 흐림영주21.4℃
  • 흐림문경20.4℃
  • 흐림청송군21.4℃
  • 흐림영덕19.1℃
  • 흐림의성22.5℃
  • 흐림구미23.1℃
  • 흐림영천23.3℃
  • 흐림경주시23.3℃
  • 흐림거창20.4℃
  • 흐림합천23.0℃
  • 흐림밀양24.0℃
  • 흐림산청22.1℃
  • 흐림거제20.9℃
  • 흐림남해20.6℃
  • 흐림21.8℃
국립순천대 연구진, 새로운 타겟으로‘전이성 폐암’ 정복 나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

국립순천대 연구진, 새로운 타겟으로‘전이성 폐암’ 정복 나서

국립순천대 의생명과학과·약학과-KBSI 광주센터 공동연구로 전이성 폐암 추적과 치료가 한 번에 가능한 치료제 개발 결실
연구 결과는 생의학분야 권위지 ‘Biomaterials Research’ 게재

240507_전이성 폐암  새로운 타겟으로 정복한다_연구진.jpg

사진제공=순천대

 

국립순천대학교 (총장 이병운, 이하 순천대) 의생명과학과 김종진 교수와 약학과 장동조 교수 연구팀이 전이성 암에 대한 새로운 억제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놓아 주목받고 있다.

 

순천대 연구진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양성광, 이하 KBSI) 노화연구시설 이성수 박사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전이암 바이오마커로써 heme oxygenase 2 (HO2)를 발굴하였으며, 이의 억제제 TiNIR (Tumor-initiating cell near-infrared probe)로 암 전이를 제어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

 

HO2는 세포에서 헴(heme)을 분해하는 효소로, 세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제거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연구에서 HO2는 종양줄기세포 추적/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로 보고된 바 있다. 공동 연구팀은 전이성 암에서 HO2 단백질 발현 증가를 확인하고, TiNIR에 의해 HO2 기능이 억제될 때 암세포 내 ROS 축적 및 하위단백질 인산화가 제어되어, 최종적으로 세포골격 합성과 세포주기를 억제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활용한 전이암의 치료 효과는 동물모델에서 확인했다.

 

공동교신저자들은 “새로운 바이오마커 HO2와 선택적 억제제인 TiNIR 활용으로 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겪는 전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암 예방, 진단 그리고 치료 전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TiNIR는 형광 특성으로 인해 치료 이외에도 전이종양을 추적할 수 있는 프로브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테라그노시스(theragnosis, 진단과 치료를 통합한 환자 관리 전략)’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신진연구), KBSI의 광주센터 운영사업과 기초과학원구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생의학분야 권위지인 ‘Biomaterials Research’誌 온라인판에 4월 26일 게재됐으며,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한국을 빛내는 사람 논문(이하 한빛사)’으로 선정됐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